<2024-09-30> 현재 조합원현황 :4,682세대 출자금현황 :1,261,550,000원
유틸메뉴
현재위치
민들레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
언론보도
[서울신문] 시민단체 '착한소비' 바람 상세내용
제목
[서울신문] 시민단체 '착한소비' 바람
작성자
민들레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mindlle)
작성일
2024-07-19
조회수
481
초등학교 교사인 박모(37·여)씨는 올해 3월 생협(생활협동조합)에 가입했다. 미국산 쇠고기의 광우병 위험 논란이 제기되면서 먹을거리 불안에 사로잡혔기 때문이다. 건강한 식탁을 원하던 그는 국내의 유기농 농작물과 공정무역으로 들여온 안전한 수입식품을 선택했다. 박씨는 11일 “생협의 조합원들과 온·오프라인상 대화를 통해 먹거리에 대한 지식을 배우고 있다.”면서 “아이의 아토피가 좋아진 것도 큰 효과”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제3세계·한국농민 돕자”
광우병·조류 인플루엔자(AI)·유전자변형(GMO) 옥수수 수입 등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면서 ‘윤리적 소비’가 각광을 받고 있다. 공정무역 단체들은 지난 10일 ‘세계공정무역의 날(매년 5월 두번째 토요일)’을 맞아 윤리적 소비가 제3세계나 한국의 농민들을 도울 뿐 아니라 먹을거리 불안을 이기는 좋은 방법이라고 소개했다. 공정(대안)무역은 제3세계 생산자들이 만든 환경친화적 제품을 제 값에 사는 녹색소비자 운동이다.‘윤리적(착한) 소비’는 공정무역을 포함한 소비자 운동으로 인간·동물·환경에 해를 끼치는 상품을 사지 않고, 한국이나 제3세계 생산자들의 친환경 상품을 구입하는 소비행태를 말한다.
한국에서는 두레생협이 2004년 필리핀 네그로스 섬의 설탕을 팔기 시작했다. 이후 YMCA·아름다운재단·여성환경연대·페어트레이드코리아가 커피, 의류 등의 공정무역 제품을 내놓았다. 한국생협연대(iCOOP)는 초콜릿과 커피를 내놓고 있다.
생협연대의 경우 광우병 파동이 일어나기 전인 지난 1월과 2월에는 각각 1065명,934명의 조합원이 새로 가입했지만, 광우병 논란이 본격화된 3월에는 1762명이 조합원으로 가입했다. 생협이 운영하는 ‘자연드림’의 매출액도 1월(6억 5200만원)과 2월(6억 3000만원)에는 비슷했지만 식품안전사고 이후 3월(8억 4100만원)에는 전월 대비 33%나 성장했고,4월(9억 7700만원)에도 16% 늘었다. 생협연대 관계자는 “‘쥐머리 새우깡’ 등 이물질 혼입 사건 때문에 소비자들이 안전한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면서 “AI 발병까지 겹쳤던 4월에는 전년 대비 294%나 조합원이 늘었다.”고 말했다.
●3·4월 들어 매출 크게 늘어
두레생협 가입자 역시 1월(828명)·2월(914명)에는 증가세가 크지 않았지만 3월에는 2월보다 547명이나 는 1461명이었다. 최근에는 생협들이 한·미 쇠고기 협상에 대한 재협상을 요구하는 시위에 나서고 있다. 지난 7일 대전에서는 민들레의료생협, 불교생협 등이 기자회견 및 캠페인에 나섰다. 지난달 30일에는 생협연대가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엄마가 뿔났다. 한·미 쇠고기 협상 철회를 촉구하는 엄마들 기자회견’을 열기도 했다.
소비자 시민모임 김자혜 사무총장은 “윤리적 소비가 생산자를 돕는 운동이기도 하지만 안전한 음식을 먹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면서 “자유로운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한적인 접근성과 물품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